Baram

공유기 격파!! :: DMZ를 이용하여, 공유기로 Server OPEN

rootnix 2011. 5. 14. 02:21
DMZ를 이용하여, 서버를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이 설정법을 이용하면, 프바 서버만이 아닌 다른 서버도 구동이 가능합니다.(웹,텔넷 등)

본 문서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는 - MY070LGNet [ APD-4000 ] 을 이용했습니다. (이것밖에없으니깐...)
먼저 공유기를 사용하고 서버를 구축할 경우, 내부에선 접속이 성공적으로 되지만, 외부 즉 유저들이 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.
그럼 서버 돌리는 의미가 엄짜나요?
그니깐 우리는 셋팅을 통해서, 서버를 열어봅시다.

먼저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공유기 관리페이지 주소를 모르시는분은...

시작 - 실행 - CMD 를 실행하신뒤,
 Microsoft Windows [Version 6.1.7600]
Copyright (c) 2009 Microsoft Corporation.  All rights reserved.

C:\Users\rootnix>ipconfig -all

Ethernet adapter 로컬 영역 연결:

   Connection-specific DNS Suffix  . :
   Description . . . . . . . . . . . : Marvell Yukon 88E8040 PCI-E Fast Ethernet
 Controller
   Physical Address. . . . . . . . . : 00-25-*-*-*-*
   DHCP Enabled. . . . . . . . . . . : Yes
   Autoconfiguration Enabled . . . . : Yes
   Link-local IPv6 Address . . . . . : fe80::dcc4:bfda:946f:64b5%11(Preferred)
   IPv4 Address. . . . . . . . . . . : 192.168.123.101(Preferred)
   Subnet Mask . . . . . . . . . . . : 255.255.255.0
   Lease Obtained. . . . . . . . . . : 2011년 5월 13일 금요일 오후 8:21:44
   Lease Expires . . . . . . . . . . : 2011년 5월 14일 토요일 오후 8:21:44
   Default Gateway . . . . . . . . . : 192.168.123.254
   DHCP Server . . . . . . . . . . . : 192.168.123.254
   DHCPv6 IAID . . . . . . . . . . . : 268445028
   DHCPv6 Client DUID. . . . . . . . : 00-01-00-01-14-E6-E1-6E-00-25-64-48-98-08

   DNS Servers . . . . . . . . . . . : 116.74.100.28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202.88.130.67
   NetBIOS over Tcpip. . . . . . . . : Enabled


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.
저기 보시면 IP Address 는 공유기 사설 IP로써, 192.168.*.* 으로 되어있지요.
제 공유기의 관리자페이지는
Default Gateway : 192.168.123.254 입니다.
(공유기 마다 주소가 다릅니다.)

그럼 인터넷을 키시고, 저 게이트웨이 값으로 접속합니다.

 C:\Users\rootnix>explorer http://192.168.123.254

* LGNet Default Gateway : 192.168.123.254
* IPTime Default Gateway : 192.168.0.1
etc...


접속하시면 관리자 페이지가 보이실거예요.
LGNet 공유기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.
관리자 페이지 뜨시면 로그인 하라고 합니다...


이런 화면인데요, 초기비밀번호는 'admin' 입니다.

로그인합니다.

이런 메인 화면이 뜨게됩니다.
이제 DMZ 설정을 해봅시다.
'고급 설정' - 'NAT 설정' - 'DMZ 서버' 로 들어갑니다.


이런식으로 뜨는데요.

DMZ사용 누르신후, 내부아이피 주소를 입력해주시면됩니다.

아이피주소는 위에...cmd 에서 알아보았죠...?

그리고 확인을 눌러줍니다.


*TIP

LGNet 공유기는... 내부아이피가 자꾸 바뀌더라구요.

그래서 DMZ걸어놧는데, 내부아이피 바뀌면 또 걸어야되거든요.

그래서 그냥 내 컴퓨터에는 이 아이피만 할당하라고 설정해주시면 됩니다.

기본설정-  LAN설정-  DHCP고정할당 으로 들어가줍니다.


이렇게 하드웨어주소에 맥주소 검색 해서 자신의 컴퓨터의 MAC Address 를 추가해주시고,

할당할 IP주소는 192.168.123.* 뒤에 *는 '1-253' 까지 설정이 가능할껍니다...


이렇게하면 DMZ 설정이 완료됩니다.

프바서버를 열을때 서버셋팅을 할때

아이피를 내부아이피 - 192.168.123.* 로 설정해주시면됩니다.


// map_conf.txt

bind_ip: 0.0.0.0
//map_ip: 127.0.0.1
map_ip: 192.168.123.101
map_port: 10100

inter_ip: 127.0.0.1
inter_port: 2500
inter_pwd: NoxonServer


이런식으로, 내부아이피로 설정해주시구요.

자신의 컴퓨터, 같은 사설내의 컴퓨터는 내부아이피로 접속

외부 유저는 공인아이피로 접속하면됩니다

공인아이피 보기 : http://yeon.in/service.php


이상 문서를 마칩니다.



TIP :

IPTime 의 TwinIP

다른 공유기는 SuperDMZ


이 기능을 이용하면, 바로 해당컴퓨터로 공인아이피 할당이가능합니다.

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, 내부아이피없이 공인아이피로 모든게 해결가능합니다.


IPTIME 설정법

IPTIME도 똑같이 관리자페이지로 접속합니다.
 스샷에 IPTime N604R 공유기 입니다.

이런 화면에서 관리도구 를 들어가줍니다.


이와 같이
고급설정 - Nat/라우터관리 - DMZ/TwinIP 설정 에서 설정해줍니다.
DMZ -> 설명대로 지정된 내부 IP주소 즉 192.168.0.4 같은  아이피의 모든 포트를 개방시킵니다.
TwinIP -> 공인IP를 할당합니다.

DMZ를 설정하실경우, 호스트컴퓨터의 내부아이피를 입력해주시면됩니다.
TwinIP를 설정하실경우, 호스트 컴퓨터의 MAC Address 를 입력해주시면됩니다.

DMZ를 설정하실경우, 서버 셋팅은 내부아이피로, 외부 접속은 공인IP로 해주시면됩니다.
 TwinIP를 설정하실경우, 할당된 공인IP로 서버셋팅,접속 모두 공인IP로 하시면됩니다.

감사합니다^^;